본문 바로가기
loading
전체 427건 , 페이지 1 / 43
공지사항 목록
용어명 영문 표기 동의어 해설 비고 출처
1인 미디어(개인형 미디어) Personal media 1인미디어란 개인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며,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의미한다. (DMC report,2016)
1회 단위 방송시간 전광판에서 보도, 교양, 상업광고, 공익광고, 기타 등 유형별 광고가 순차적으로 1회씩 방송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방송통신위원회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기준
3D 바이오 프린팅 3D Bio Printing 3D 프린터와 생명공학이 결합된 인쇄 기술
3차원(3D) 바이오 프린팅은 살아 있는 세포를 원하는 형상 또는 패턴으로 적층해서 조직이나 장기를 제작한다. 컴퓨팅 기술이 물리 형태의 사물과 융합된 사이버물리시스템(CPS: Cyber-Physical System)과 연결되어 생체 조직 대체 효과를 볼 수 있다.
최신 ICT 시사상식 2021
3D 스마트 TV 3D TV 기능과 스마트 TV 기능을 하나의 기기에 적용한 TV
3G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3세대 이동 통신 기존의 음성 및 패킷 전송은 물론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글로벌 로밍이 가능한 이통 통신 규격. 1980년대는 1세대로 아날로그 음성을, 90년대에 등장한 디지털 개인 휴대 전화(PCS)는 음성과 저속의 데이터를, 2000년대 실용화된 영상 전화는 음성을 비롯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인터넷과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는 당초 3세대의 명칭을 IMT-2000으로 하고 고정 2Mbps, 휴대 384Kbps, 이동 144Kbps를 제공하도록 요구 조건을 정하고 기술 개발을 추진해 국제 단일 표준을 정하고자 했다. 그러나 기존 서비스 진영의 기술이 양분되어 있고 이해가 상충되어 현재는 6개가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대표적인 표준은 동기식인 북미의 CDMA 2000, 비동기식인 유럽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중국의 시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TD-SCDMA), 그리고 우리나라의 와이브로(WiBro) 등이 있다. 3세대 이동 통신(3G) 서비스가 지연되면서 3.5세대 기술 개발이 완료되어 이동 시 전송 용량이 최대 14.4Mbp에 달하는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도 3G와 함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word_seq=058033-2)
4G Fo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4세대 이동 통신 3세대 이동통신 IMT2000의 뒤를 잇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국제전기 통신연합(ITU)의 국제표준화기구에서는 SBI2K(Systems Beyond IMT-2000)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해 전화를 비롯한 위성망 연결, 무선랜 접속, 인터넷 간의 끊어짐 없는(Seamless) 이동 서비스가 가능하다. IMT2000보다 전송 속도가 수십 배 이상 개선된 빠른 통신 속도를 바탕으로 동영상 전송, 인터넷 방송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한다. 수십~수백 Mbps의 전송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4세대 이동통신의 4G 서비스는 이동 중 100Mbps, 정지 중 1Gbps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기술이다. 정지 중 최고 속도인 1Gbps의 전송 속 도는 MP3 음악파일 100곡을 2.4초에, CD 1장의 800MB짜리 영화 1편을 5.6초에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음성·영상·데이터가 한꺼번에 처리되는 TPS(Triple Play Service) 서비스가 가능해져 음성전화 통화, 고화질TV 시청, 인터넷 접속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휴대폰은 단순히 음성을 전달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모든 기기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기능을 가진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word_seq=061462-2)
5G 5th Generation 5세대 이동 통신 5G의 최대 전송속도는 4G 대비 20배 향상된 20Gbps로, 이는 영화 한편을 10초 내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수준이다. UHD급 화질의 영화, 방송 콘텐츠 등을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시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5G의 지연시간은 1ms로 4G와 비교했을 때 10배 향상된 수준으로, 이는 자율주행, 원격로봇 수술 등의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핵심 요소이다. 5G의 최대 기기연결 수는 단위 면적당 1백만 개로 4G 대비 10배 증가하였고, 에너지 효율성 및 주파수 효율성은 4G 대비 각각 100배, 3배 개선되었다. 5G 이동통신의 시장 확산 방안 연구(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8)
5G-지상파 협력 방송 지상파 방송망을 5세대(5G) 이동통신망에 연동해 5G 스마트폰 또는 5G 모뎀이 탑재된 수신기에서 고화질 방송을 제공하는 기술

5G-지상파 협력 방송은 지상파 방송망을 5세대(5G) 이동통신망에 연동해 스마트폰이 유심카드 또는 별도 서비스 구독 절차 없이 5G 망에서 방송을 직접 수신하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방송 통신 융합서비스 진화를 위한 기술로 주목받는다.
최신 ICT 시사상식 2021
5세대 이동 통신 5G 4세대 이동 통신에서 진화된?이동 통신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마케팅 명칭.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서 정한 공식 명칭은?아이엠티 2020(IMT-2020)이지만,?이동 통신?시장에서는 세대로 구분하여 5세대(5G) 용어를 사용한다.
5G는?이동 통신?국제 표준화 단체인 3GPP의 기술 상표명(brand name)이기도 하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용어사전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5G system 5G 시스템 5세대 이동통신(5G)에서 무선 접속망과 핵심망을 합한 전체 시스템.
이동통신 분야 사실 표준화 기구인 3GPP에서 정한 명칭이다. 5G 시스템(5GS: 5G System)은 5G 무선 접속망(NG-RAN)과 5G 핵심망(5GC)으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은 외부 패킷 데이터 망(PDN: Packet Data Network)과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5GS는 기존 LTE와 연동(interworking)되며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non-3GPP 무선접속 기술과도 연결될 수 있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용어사전